반응형
터미널 서비스가 사용하는 포트는 3389번입니다.
방화벽이 있어서 터미널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3389포트를 열고 접속하면 가능하실 겁니다.
터미널 서버의 포트번호 변경 - Registry를 수정해서 포트를 바꿔 사용할수 있습니다.
Terminal Server 설정 1.Regedt32 또는 Regedit 실행 2.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ServerWdsRepwdTdsTcp 이동
PortNumber d3d(3389) 10진수를 선택하고 다른 포트번호(????)를 입력
3.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ServerWinStationsRDP-Tcp 이동
PortNumber d3d(3389) 10진수를 선택하고 다른 포트번호(????)를 입력
Terminal Server client 설정
1. 클라이언트 연결 관리자
새 연결을 이용해서 만든 아이콘을 클릭한후 파일 메뉴에서 내보내기를 누른다. 예로 "compaq" 이름을 지정하면 compaq.cns파일이 생성된다. compaq 컴퓨터에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이름 입니다.
2. compaq.cns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면 compaq server WinPosStr=0,1,0,0,640,480 Expand=1 Smooth Scrolling=0 Shadow Bitmap Enabled=1 Dedicated Terminal=0 Server Port=3389 Enable Mouse=1
Server Port=3389 에서 Server Port=???? 사용하고자 하는 포트번호로 바꾸면 터미날 서버에서 레지스트리 변경을 해서 새로 지정한 포트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XP 나 Windows Server 2003에서 제공하는 원격 데스크톱 연결 도구를 이용하면 클라이언트 설정이 좀더 쉽습니다.
반응형
'Tip & Tech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프로그램 윈도우즈 서비스로 등록시키기 (0) | 2010.10.20 |
---|---|
Windows Media Encoder 소개 (0) | 2010.10.20 |
WinXP 여러개의 이더넷 우선순위 정하기 (0) | 2010.10.19 |
PostgreSQL ODBC 풀링 시 오류 문제 해결 법 (0) | 2010.10.19 |
IE8 탭복구 오류 (스크립트 엔진 문제) 복구법 (0) | 2010.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