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qmail은 하나의 전체 설정 파일을 사용하지 않고 /var/qmail/control/ 안에 다음과 같이 분리되고 각각의 기능을 하는 설정파일들을 사용합니다. 각 설정 파일들의 목적은 매우 뚜렷하고 이해와 수정이 용이합니다. 다음 콘트롤 파일들이 모두 존재하고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만들어 줍니다. -- 임은재 2004-04-15 21:25:37


정의

bounce : 어떤 이유로든 메일이 되돌려 질때 (from: 헤더가 있는 경우)

double bounce : bounce 한 메일이 다시 되돌아 오는 경우

me 는 FQDN으로 명기한 도메인 명이 적혀있는 me 라는 파일을 의미합니다.

Control 파일 Default 사용 설명
rcpthosts 없음 qmail-smtpd 메일을 받아들일 도메인(들)
badmailfrom 없음 qmail-smtpd 이 메일주소로 부터 오는 메일은 553 sorry, your envelope sender is in my badmailfrom list 라는 메세지와 함께 무조건 User unknown으로 bounce 한다.
bouncefrom MAILER-DAEMON qmail-send bounce 할때 메일의 from: 헤더에 들어갈 유저 이름.
bouncehost me qmail-send bounce 할때 메일의 from: 헤더에 들어갈 호스트 이름.
concurrencylocal 10 qmail-send 로컬 메일 배달시 qmail-send의 동시 최대 프로세스의 수를 조절
concurrencyremote 20 qmail-send 리모트 메일 배달시의 qmail-send 동시 최대 프로세스 수를 조절
databytes 0 qmail-smtpd 메일의 최대 크기(byte, 0 = 무제한)
doublebouncehost me qmail-send double bounce 된 메일을 수신할 호스트
doublebounceto postmaster qmail-send double bounce 된 메일을 받을 유저
envnoathost me qmail-send 메일주소에 @ 가 명시되지 않았을 경우의 디폴트 도메인 이름
helohost me qmail-remote SMTP HELO 명령에 표시될 호스트 이름
localiphost me qmail-smtpd 로컬 IP 주소가 대체될 이름
locals me qmail-send 로컬로 인식하며 배달할 도메인(들)
me 시스템의 FQDN . 다른 콘트롤 파일을 위해 쓰임
morercpthosts 없음 qmail-smtpd 두번째 rcpthosts 파일
percenthack 없음 qmail-send "%"-형식의 릴레이를 사용 할 수 있는 도메인
plusdomain me qmail-inject domain substituted for trailing "+"
qmqpservers 없음 qmail-qmqpc QMQP 서버의 IP 주소
queuelifetime 604800 qmail-send 메세지가 메일 큐안에 머물 수 있는 시간 (초단위)
smtpgreeting me qmail-smtpd SMTP greeting message
smtproutes 없음 qmail-remote artificial SMTP routes
timeoutconnect 60 qmail-remote SMTP 연결 대기 시간 (초)
timeoutremote 1200 qmail-remote 리모트 서버 연결 대기 시간 (초)
timeoutsmtpd 1200 qmail-smtpd SMTP client 대기 시간 (초)
virtualdomains 없음 qmail-send 가상 도메인들과 유저들
defaultdomain me qmail-inject 기본 도메인 이름
defaulthost me qmail-inject 기본 호스트 이름
idhost me qmail-inject Message-ID 에 사용될 호스트 이름



머 대충 이런내용인데 qmail kldp에 가입이 안되어잇어서 comment를 달수가 없..어서 다음과 같이 글을 남김...

주 골자는 다음과 같음
me <- 이놈이 아무런 현상이 없다, 참조하는 곳이 없는거 같다라고 glay옹에게 물어봐서 답변이
다른게 설정이 되지 않으면 me가 디폴트인것만 설정이 된다..라는 것.

이런식으로 더 추가해볼 까 한다 하악..
회사 wiki완성되면 쓰고 -0-
=3
반응형

'Tip & Tech > Linux |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타임존(time zone) 변경..  (0) 2010.10.20
Bash 파일명 패턴으로 지우기  (0) 2010.10.20
ld.so.conf 사용법  (0) 2010.10.20
qmail 더블바운싱 되는 메일 처리 하기  (0) 2010.10.20
qmail 관련 명령어들.  (0) 2010.10.20
반응형

프로필보기  
사운드 및 테마, 3D 가속 활성화 시키기

시작/실행services.msc
서비스로칼창 우측에/테마와 윈도오디오 항목을 더블크릭/자동으로 하고/시작 눌러주면 설치됩니다..
그러면.3d 와 사운드가 활성화 됩니다.

시작/실행/desk.cpl
설정/고급/문제해결/풀..로 맞춰주면 끝.

시작/실행/dxdiag
디스플레이 탭에서 활성화 해줍니다다...3d,agp등을 ..


시작시 ctrl+alt+del 안누루고 바로 시작 하는 방법
시작/실행/gpedit.msc
컴퓨터구성/윈도설정/보안설정/로칼정책/보안옵션 우측창에.
대화형로그온ctrl+alt+del 항목을 더블클릭/
사용함으로 하면 부팅시에 누르는거 안나옵니다.

종료시 Event Tracker 창 없애기
시작/실행/gpedit.msc
컴퓨터구성/관리템플릿/시스템우창에/시스템종료 이벤트 추적기표시 를 사용안함 으로..

시작/실행/control userpasswords2 에서
체크표시 해지하면 새로 암호 물어보는 창이 뜹니다.
암호 입력(로그인 암호) 새로 부팅하면 자동 로그인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upport.microsoft.com/gp/lifeselectserv

맨날 찾으러 드갈라니 귀찮아서..
반응형
반응형

# vi /etc/ld.so.conf 를 열고...

사용하고자하는 라이브러리 패스를 넣는다...귀찮으면 절대 패스!!!!!!!!!

저장하시고...

#ldconfig -d   (기억이 맞나 가물가물 --help로 보시면, 캐쉬잡힌거 보여줍니다)

반응형
반응형

http://www.microsoft.com/korea/windows/windowsmedia/9series/server/faq.aspx?section=WINDOWSMEDIASERVICESBASICS&question=WINDOWSMEDIASERVICESBASICS6#NAME_WINDOWSMEDIASERVICESBASICS



Windows Media Player 및 다른 클라이언트가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또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여 방화벽 안쪽에 있는 Windows Media 서버에서 유니캐스트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게 하려면 다음 포트를 엽니다.

Streaming with RTSP
In: UDP port 5005
Out: UDP port 5004
In/Out: TCP port 554
Streaming with UDP
In: TCP on port 1755
In: UDP on port 1755
Out: UDP between port 1024-5000 (필요한 개수의 포트만 열림)
Streaming with TCP
In/Out: TCP on port 1755
Streaming with HTTP
In/Out: TCP on port 80
방화벽 안쪽에 있는 배포 서버가 RTSP, HTTP 또는 MMS를 사용하여 방화벽 밖에 있는 원본 서버에서 유니캐스트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게 하려면 다음 포트를 엽니다.

Streaming with RTSP
In: UDP on port 5005
In/Out: TCP on port 554
Out: UDP on port 5004
Streaming with HTTP
In/Out: TCP port 80
Streaming with MMS
In/Out: TCP on port 1755
멀티캐스트 스트리밍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배포하려면 표준 클래스 D 멀티캐스트 IP 주소(224.0.0.1 ~ 239.255.255.255)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송합니다. 멀티캐스트를 수행하려면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전달이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특정 방화벽 요구 사항과 설정은 Windows Media 서비스 9 시리즈 도움말 을 참조하십시오.
반응형
반응형

-- 기존 qmail-remote를 qmail-remote-org로 이름변경
$  mv /var/qmail/bin/qmail-remote /var/qmail/bin/qmail-remote-org

-- qmail-remote perl script파일을 다음과 같이 만들자.
$ vi /var/qmail/bin/qmail-remote
/** --------------------------------------------------------------------------------- **/
#!/usr/bin/perl

# 스탠다드 입력으로 메일 내용을 읽어들인다.
undef $/;
$inputdata = <STDIN>;
$/ = "\n";
$inputdata =~ /Subject: (.*)/;
$subject = $1;
$inputdata =~ /Received: from.*\(([0-9.]+)\)/;
$ip = $1;

# 시간을 구한다.
$now_string = localtime;

# 로그를 기록한다.
open FH, ">>/var/log/qmail-remote.log";
flock(FH,2);
print FH "\n===================================================================";
print FH "\nARGV[0]:$ARGV[0]\nARGV[1]:$ARGV[1]\nARGV[2]:$ARGV[2]";
print FH "\n$now_string\nIP:$ip\nTo:$ARGV[2]\nFrom:$ARGV[1]\nSubject:$subject\n";
close FH;

# 특정 제목이면 보내지도 않고 보냈다고 에러코드를 리턴하고 종료한다.
if ($subject =~ /^\s*(광고|대출|뽈노)\s*\s+/i) { #광고성 제목의 메일 pass
    exit 1;
}

if ($ARGV[1]=~ m/root@windows.or.kr/) {
    exit 1;
}
if ($ARGV[1]=~ m/postmaster@windows.or.kr/) {
    exit 1;
}
if ($ARGV[1]=~ m/anonymous@windows.or.kr/) {
    exit 1;
}


if ($ARGV[2]=~ m/anonymous@windows.or.kr/) {
    exit 1;
}
if ($ARGV[2]=~ m/root@windows.or.kr/) {
    exit 1;
}
if($ip =~ m/Cron/)      {    # 크론이 메일을 발송하는 경우 Cron으로 시작하는 ip값을 가지는 것도 있으니 추가
    exit 1;
}

#if($ARGV[1] =~ /\s*(?:root|postmaster|anonymous|)\s*/i)
#{
#exit 1;
#}
#if($ARGV[2] =~ /\s*(?:root|postmaster|anonymous|)\s*/i)
#{
#exit 1;
#}

# 원래 qmail-remote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open (MAIL, "| /var/qmail/bin/qmail-remote-org $ARGV[0] $ARGV[1] $ARGV[2]");
print {MAIL} $inputdata;
close MAIL;
/** --------------------------------------------------------------------------------- **/
                                                        

설명)
바운싱이나 더블바운싱이 되는 원리는.
역시 없는 메일로 보낸 메일의 리턴때문이다.
postmaster, root, anonymous 등의 메일이 from:이나 to:에 들어가므로 파라메터로 들어오는
ARGV[1]. ARGV[2]에서 검사후 강제 종료시켜버리면
/var/qmail/queue/mess에 남아 꾸준히 발송하여 프로세스를 잡아먹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반응형

'Tip & Tech > Linux |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qmail control 파일들  (0) 2010.10.20
ld.so.conf 사용법  (0) 2010.10.20
qmail 관련 명령어들.  (0) 2010.10.20
Java 2 SDK, Standard Edition, v. 1.4.2 Installation Notes  (0) 2010.10.20
RHEL 관련 java, javac가 gij* 라면  (0) 2010.10.20
반응형


Check out RFC 2821
you are supposed to use the codes defined in RFC 3463 (or 1893)


----------------------
In general, you have to look at your options and choose the one that
most closely approximates what you are trying to communicate. In the
set of 4xx messages you have:



421 Service not available
432 Password required
450 Mailbox unavailable/busy
451 Local error in processing
452 Insufficient storage
453 You have no mail
454 TLS not available temporarily
458 Unable to queue message temporarily
459 Node X not allowed

Of all of those, 452 jumps out as the only one that obviously has
something to do with storage limits. In attempting to communicate more
accurately the cause of the error to the user, you are supposed to use
the codes defined in RFC 3463 (or 1893); in this case, 4.2.2 (or
5.2.2, though the RFC says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
"persistent transient error") communicates "mailbox full".



Of the 5xx errors defined in SMTP, there are:

500 Syntax error
501 Syntax error in parameters
502 Command not implemented
503 Bad sequence
504 Parameter not implemented
521 Machine does not accept mail
530 Authentication required
534 Authentication mechanism too weak
538 Encryption required
550 Mailbox unavailable permanently
551 User not local
552 Message too big
553 Mailbox name not allowed
554 Transaction failed



반응형
반응형

-- 큐 삭제
  - 패턴으로 삭제
    $ /var/qmail/bin/qmail-remove -p foolabo -r
  - 전체 삭제
    $ /var/qmail/bin/qmail-remove -r
-- 큐 상황(갯수)
    $ /var/qmail/bin/qmail-qstat
-- 큐 읽기
    $ /var/qmail/bin/qmail-read
로그보기 tai64nlocal 변환
ex) cat /var/log/qmail/qmail-smtpd/current | /usr/local/bin/tai64nlocal
반응형
반응형

order by cast(mid as unsigned) asc

반응형
반응형

set allow_url_fopen to On in php.ini, or to true using ini_set.

allow_url_fopen = On 으로 한 후 아파치 재시작 ㄱㄱ
반응형

'Tip & Tech > Both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tp 에러 규약  (0) 2010.10.20
문자로 된 숫자 정렬 방법  (0) 2010.10.20
오라클 instant client 설치 법  (0) 2010.10.20
오라클 create, alter, delete  (0) 2010.10.20
오라클 index로 잡힌 pk 삭제 법.  (0) 2010.10.20

+ Recent posts